플라이트시뮬레이터/가상항공사

FLY Aero Sprint 기종 정리 및 인천 허브공항 소개

반다이 2012. 11. 27. 22:33
설립연도 : 1992년 11월 소재지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2172-1 부지면적 : 5619만 8600㎡(1,700만 평) 여객터미널 : 연면적 514,910㎡ 여객터미널 연면적 51만 4910㎡(15만 평) 관제탑높이 100.4m 활주로길이 길이 3,750m, 너비 60m, 두께 105cm인 활주로 2본 연간발착횟수 17만 회/연 여객 2,700만 명/연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인 서울로 들어오는 관문인 인천항공 은 동북아 허브공항을 향해 성큼 다가가고 있습니다. 김포공항이 포화상태에 이른 1992년 착공을 시작 8년 4개월 만인 20 01년 3월 처음으로 개항을 하게 되었습니다. 연간 2700만 여명의 여객과 17만여회의 발착횟수로 이미 동북아 허 브, 거점 공항으로 발돋움한 인천국제공항은 현재 진행중인 최종공 사가 2020년 마무리 될 시점에 세계 유수의 유명공항들과 더불어 세 계를 대표하는 공항이 되어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21세기 수도권 항공운송의 수요를 분담하고 동북아시아의 허브(Hub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를 매립 하여 1992년 착공하여 8년 4개월만에 총공사비 7조 8,000여 억원이 투입되어 2001년 3월 29일 개항하였습니다. 1단계 공사가 마무리되어 2001년에 개항한 인천국제공항은 연간 17 만 회의 항공기 운항을 통해 2,700만 명의 여객과 170만 t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5년 기본계획에서 공항 인접 동쪽에 배후지원단지와 이주단지를 조성하려던 당초의 계획을 변경하여, 이 일대를 활주로 확장에 대비한 유보지로 남겨두고 공항에서 1.7km 떨어진 영종도 중 심부로 이전하였습니다.

시설은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계류장시설, 항행안전시설, 교통시 설 등으로 구분된다. 여객터미널은 체크인 카운터가 270개, 여권심사대 120개, 보안검색대 28개, 출발여객 처리용량은 시간당 6 ,400명 입니다. 화물터미널은 항공기 24대를 동시에 세울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 으며, 연간 화물처리능력은 170만 t이다. 계류장 시설은 33만 평으로 항공기 60대를 동시에 계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관제통신시설은 지상 22층 높이의 100m의 관제탑이 설치되었으며, 활주로의 시정거리가 50m인 상태에서도 항공기의 착륙이 가능하도 록 계기 착륙시설과 표지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영종도 일대는 단독, 주택용지에 6,200 여 가구가 건설되어 입주할 예정이며, 공공시설 용지에는 교육시설과 공원 등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인천국제공항의 마스코트 는 허비(Huby) 입니다. 최종 공사가 마무리되는 2020년 이후에는 활주로 4개로 증대되며, 여객 터미널 규모 875㎢, 여객수 1억 명, 화물 700만 t, 운항 횟수 53만 회(연)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항을 찾아오는 방법으로는 공항버스, 리무진, 공항전철, 택시, 자가 운전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지방에 거주하고 계시다면 가까운 고속버스, 시외터미널에서 인천공 항으로 연결되는 공항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을 이용할 경우 수화물 탁송, 탑승수속, 출국심사 및 병역신고 등 모든 공항업무가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되므로 매우 편리합니다.